![]() |
강용숙 대표 |
코로나가 지속되면서 자영업자들이 제일 힘들어 한다. 자영업자 대부분이 세입자이다 보니 임대에 필요한 보증금, 권리금, 매달 월세 등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.
그런데 이 수입이 현저히 줄거나 거의 없다면. 생각할수록 끔찍하다. 당연이 문을 닫아야한다. 그렇지 않으면 다른 방법으로 돈을 융통해서 적자를 메꾸어야한다. 그러면 이 자영업자가 얼마를 버틸 수 있을까. 결과는 우리가 생각하는 그대로다.
이달에 만난 유성구 장대동 장대공원 인근에 위치한 ‘다복지짐이’ 강용숙(62) 씨도 그 중 한사람이다. 강씨는 20년 넘게 장사를 해왔다. 그동안 횟집도 해보고 순대집도 운영했다. 그리고 지금의 전집을 개업한 것은 5년이 됐다.
“처음 전집을 개업해서는 그런대로 잘됐어요. 아이들하고 생활하고 조금씩 생활도 나아졌고요. 하지만 2년 전 코로나가 시작되면서 부터는 정말 힘이 듭니다”
2월10일 강 씨가 운영하는 ‘다복지집이’를 방문한 시간은 오후 3시. 저녁 손님을 위해 재료 준비를 하고 있었다. 강 씨에게 요즘 매출을 물었다.
“거의 70%까지 떨어졌어요. 그렇다고 가게를 접을 수도 없어요. 아직 계약 기간이 남아 있고 설사 내놓는다고 해도 요즘 같이 어려울 때 누가 임대를 들어오겠어요.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죠”
강 씨의 하소연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.
“세 번째 장사인데 그동안 제법 쏠쏠하게 벌어서 아이들 공부시키고 이제 살만하다 싶다 했는데 이렇게 코로나가 힘들게 하내요”
강 씨가 장사를 시작한 것은 지난 91년. 처음 시작한 횟집이 잘 안됐고, 그와 중에 남편이 세상을 떠났다. 이후 혼자서 두 딸을 키워야했는데 취업은 어렵고 뛰어든 것이 음식업 이었다. 잘 안되던 횟집을 접고 순대 집을 개업했는데 꽤 장사가 잘됐다. 그때 아이들 공부시켜 국립대학에 보냈고 지금은 두 딸 모두 사회진출 해 직장생활 하면서 틈틈이 엄마일도 도와주고 있다. 강 씨가 운영하는 ‘다복지짐이’는 각종 전을 판다. 깻잎전, 육전, 김치전, 버섯전 등 다양하다. 매장에서 막걸리와 함께 먹을 수도 있고 포장도 가능하다. 오후 일찍 나와서 신선한 재료로 장사를 준비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한다. 강 씨의 부지런함 대문일까. 강 씨의 전은 제법 손맛이 있는 것으로 소문이 나있다.
“음식 맛은 좋은 재료입니다. 계란 하나를 사더라도 가장 신선한 것으로 사죠. 좋은 재료와 정성은 좋은 맛을 냅니다”
강 씨의 전집은 대부분 2차손님이 많이 온다. 그런데 영업제한이 있다 보니 1차에서 식사를 마친 손님들이 오지를 못한다. 그래서 손님이 더 없다고 힘들어했다.
강 씨는 끝으로 “하루 빨리 코로나가 종식되는 것이 우리 같은 자영업자들이 살길 이지만 그동안이라도 정부에서 영업제한 시간을 융통성 있게 정해주면 좋겠다” 말했다.
글/임재만
![]() |
임재만 newstart1@naver.com
<저작권자 © 유성소식 더좋은유성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